안압이 높을 때 증상 정상수치
1. 안압이란 무엇인가?
안압(眼壓, Intraocular Pressure)은 눈 속을 채우는 액체인 방수(房水)*가 만들어지고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이 압력은 눈의 형태를 유지하고 시신경이 안정적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안압이 정상 수치를 벗어나 높아지면 시신경에 손상을 주어 시야 결손과 시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안압의 정상수치
안압은 일반적으로 10~21mmHg 범위가 정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0mmHg 미만: 안압이 너무 낮아 안구 위축 가능성
10~21mmHg: 정상 범위
22mmHg 이상: 안압 상승으로 시신경 손상 위험 증가
30mmHg 이상: 급성 안압 상승으로 응급 상황
👉 안압은 개인의 체질, 나이, 측정 시간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같은 수치라도 사람에 따라 시신경 손상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안압이 높을 때 나타나는 증상
(1) 시야 흐림
사물이 또렷하지 않고 안개가 낀 듯 뿌옇게 보일 수 있습니다.
(2) 눈 통증과 압박감
눈이 뻐근하고 무거운 느낌이 들며, 눈 주위가 욱신거리기도 합니다.
(3) 빛 번짐
밤에 불빛 주변에 무지개빛 후광이 나타나는 증상(halo)이 대표적입니다.
(4) 두통
안압 상승은 두통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특히 눈 주위와 관자놀이가 당기는 듯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5) 구토와 어지럼증
급성으로 안압이 급격히 올라가면 심한 구토, 메스꺼움, 어지럼증이 동반되며 이는 응급 상황입니다.
(6) 시야 결손
안압이 장기간 높게 유지되면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녹내장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중요한 점은 많은 경우 안압 상승이 무증상으로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즉, 증상이 없다고 해서 안압이 정상이라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4. 안압이 높아지는 이유
방수 배출 장애: 섬유주, 슐렘관이 막히면서 방수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으면 위험도가 높음
노화: 나이가 들면서 배출 기능 저하
스테로이드 장기 사용: 안약, 경구제 모두 안압을 올릴 수 있음
외상: 사고나 수술 후 합병증
생활습관 요인: 카페인, 음주, 흡연,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 엎드려 자는 습관 등
5. 안압 정상수치 유지를 위한 생활 관리
(1) 정기적인 검진
40세 이후, 특히 가족력이 있다면 매년 안과 검진을 통해 안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생활습관 개선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 시 1시간마다 눈 휴식
수면 시 엎드려 자지 않기
과도한 카페인, 음주 줄이기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혈류 개선
(3) 식습관 관리
눈 건강에 좋은 루테인, 오메가-3, 비타민 C·E 섭취
수분은 한 번에 많이 마시기보다 조금씩 나누어 섭취
6. 결론
안압의 정상수치는 10~21mmHg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시신경 손상 위험이 커집니다. 증상으로는 시야 흐림, 눈 압박감, 빛 번짐, 두통, 구토, 시야 결손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무증상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안압 상승은 증상만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안압을 확인하는 것이 시력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체리 효능 부작용
체리 효능 부작용 빨갛게 익은 모습이 보석처럼 빛난다고 하여 ‘과일의 루비’라 불리는 체리(Cherry). 상큼하면서도 달콤한 맛으로 여름철 인기 과일 중 하나이며, 주스·잼·디저트·샐러드 등
first.healthscj.com
옥수수수염차 효능 부작용
옥수수수염차 효능 부작용 옥수수는 우리가 흔히 먹는 곡물이지만, 알맹이보다 더 특별한 가치를 가진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옥수수를 싸고 있는 길고 가느다란 옥수수 수염입니다. 한방에서
first.healthscj.com
'건강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염 뿌리를 뽑으려면 치료방법 (0) | 2025.09.28 |
---|---|
자스민차 효능 부작용 카페인 (0) | 2025.09.28 |
항생제 부작용 복용기간 (0) | 2025.09.27 |
혈액순환에 좋은 음식 운동 차 (0) | 2025.09.27 |
잔기침이 나는 이유 오래갈 때 (0) | 2025.09.27 |
댓글